티스토리 뷰
민간분양 일반공급에서의 청약 1순위 자격을 얻기 위해 청약하기 전까지 통장에 넣어둬야 할 돈은 정해져 있습니다. 이 돈을 예치기준금액이라 하며 지역마다 넣어야 하는 금액은 달라집니다
1. 지역마다 다른 금액
면적구분 | 서울/부산 | 기타 광역시 | 기타 시/군 |
전용면적 85㎟ 이하 |
300만 원 | 250만 원 | 200만 원 |
102㎟ 이하 | 600만 원 | 400만 원 | 300만 원 |
135㎟ 이하 | 1000만 원 | 700만 원 | 400만 원 |
모든면적 | 1500만 원 | 1000만 원 | 500만 원 |
지역별로 넣어야 하는 예치기준금액은 달라지는데요, 주의해야 할 점은 표에 나와있는 지역은 청약을 넣어서 분양을 받고 싶은 지역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청약자 본인의 주민등록상 거주지를 기준으로 한다는 점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서울에 주소를 두고 있는 사람이라면 인천 송도에 있는 102㎡ 아파트를 청약을 하고자 하면 예치금은 700만 원이 아니고 1,000만 원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2. 주택청약 VS 아파트청약의 정확한 용어
○ 아파트청약이란?
보통 새 아파트를 사고자 할 때에는 분양을 받는다고 말을 합니다. 아파트에는 1 가구만 사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구가 모여서 살고 있는 커다란 덩어리 형태의 공동주택을 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큰 덩어리를 한 번에 팔 수가 없기에 여러 조각으로 나눠서 팔게 되는 것이며 이를 한문으로 표현하면 나눌 분 (分)을 써서 분양받는다라고 표현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분양받는다 는 표현은 청약 후에 최초 당첨되는 경우에만 통상적으로 사용을 하고 있으며 그 이후로는 매매라고 표현을 합니다
○ 주택청약이란?
청약통장을 이용해서 주택을 신규 분양받게 되는 것을 말하는데요. 청약을 다루고 있는 물량 대부분은 공동주택인 아파트이기에 주택 또한 아파트로 생각해도 큰 무리는 없습니다
3. 집 살때 청약통장이 꼭 필요할까요?
집을 사기 위해서 청약통장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기존에 지어졌던 아파트와 다세대 주택이나 연립주택을 살 때에는 주택 청약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새로 짓고 있는 아파트를 분양을 받고 싶다면 주택 청약통장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30세대 이상의 아파트를 분양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청약을 통해서 그 집을 살 사람들을 모집해야 하는 것이 법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1977년에 이 제도가 생겨난 이후로는 주택청약통장을 갖지고 있는 사람이 대략 2,700만 명으로 국민 2명 중에 1명은 주택청약을 하려는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4. 청약의 최대 장점
새 아파트를 비교적 저렴하게 살 수 있다는 최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요. 주택도시보증공사의 분양가 규제와 분양가 상한제 시행을 통해서 시세보다도 더 싸게 살 수가 있으며 분양가의 10% ~20%인 계약금만 가지고 있어도 새 집을 사려는 시도를 해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최근 낡은 아파트를 허물어서 재건축하는 아파트들이 많은데요. 이런 경우의 아파트들은 도심과 가까운 곳이 많다 보니 입지가 우월한 편입니다
민간건설과 공공기관에서 새로 짓는 아파트를 분양받을 수 있는 응모권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청약은 우리나라 국민 중에 절반 정도는 갖고 있다고 볼 수 있지만 막상 입주하고자 하는 아파트는 매우 제한적이기에 경쟁이 엄청나게 치열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5. 분양가 상한제
새로 지어진 아파트의 가격이 무한대로 오르지 않도록 정부에서 ‘ 이 가격 이상으로는 집을 팔 수 없다 ‘라고 분양가를 미리 정해놓은 것을 말합니다. 분양가 상한제는 땅값과 아파트를 짓는 데에 들어갔던 건축비용 등을 더해서 분양가를 정하게 됩니다. 분양가 상한제가 실시가 되면은 아파트 분양가에 거품이 끼는 것을 방지를 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시내 재건축과 재개발 사업을 힘들게 할수도 있는데요. 국가에서 분양되는 아파트의 가격을 정해주게 되면 흔히들 말하는 로또 아파트가 많이 생겨날 수가 있게 됩니다. 이는 집값이 오를 수 있는 지역에서는 오히려 이 제도가 득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분양 전쟁이라 할 수 있을 만큼 청약 당첨 경쟁률이 매우 높아지게 할 수 있는 정책이 될 수도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쓸모있는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를 제대로 볼수 있는 법 (0) | 2022.12.22 |
---|---|
왜 청약 당첨이 로또일까? (0) | 2022.12.21 |
내년부터 휘발유에 붙는 세금 유류세가 높아집니다 (0) | 2022.12.21 |
2023년 3월부터 소형차 살 때 내는 비용부담이 줄어들어요 (0) | 2022.12.19 |
주52시간 근로시간제 폐지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0) | 2022.12.18 |